바퀴 성충인가요..? 퇴근하고 밤에 싱크대에서 발견했는데 도대체 어디서 들어온건지 모르겟습니다 현관 옆에

바퀴 성충인가요..? 퇴근하고 밤에 싱크대에서 발견했는데 도대체 어디서 들어온건지 모르겟습니다 현관 옆에

퇴근하고 밤에 싱크대에서 발견했는데 도대체 어디서 들어온건지 모르겟습니다 현관 옆에 주방이 바로 잇는 원룸이긴한데거기서 들어온건지.. 바로 퇴치하긴 햇는데 바퀴 종이랑 성충인지랑 외부바퀴인지 궁금하네요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답변은 채택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추가질문이 필요하시면​답변을 채택 후에 문의해주세요 . 성의없는 단답형 답변이나 쳇GPT 답변은 절대로 하지 않고 ​모든 질문들은 전공자인 제가 직접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사진은 바퀴목 > 집바퀴벌레 ( 일본바퀴, Periplaneta japonica) 유충 개체로 확인됩니다. ​크기를 봐서는 5령 이상의 유충입니다. 배관쪽으로 유입됐다고 보기엔 어렵고요 환풍구나​레인지 후드, 기타 외부와 연결된 큰 통로로 유입됐을 겁니다. 지금 시기는 바퀴벌레가 번식하는​주요 시기는 아니고요 크기가 큰 유충개체들은 대체적으로 밖에서 유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별히 집에 너무 자주 나타나는 수준이 아니라면 예방을 해주시면 관리가 가능한 종류입니다. ​​최근에 개체수가 급격히 늘어나서 다수의 성충과 유충 개체가 건물 안으로 침입하여 들어​오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자주 출현한다면 예방조치가 필요합니다. 기타 신축건물​인 경우에는 딱히 번식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성충의 몸길이 ~30mm 정도의 검정색의 중대형 종류로 최근 한반도 평균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출현시기가 앞당겨져서 개체수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보통 5월 ~부터 활동이 ​많아지는데 9월까지 가정집과 자취방을 중심으로 침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원래 일본 토착종으로 한국으로 유입되어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활동을 하다가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관찰이 될 정도로 번식영역이 확대되었다 보시면 됩니다. 실제로 모니터링을 ​하여 포획된 바퀴벌레들을 보면 일본바퀴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바퀴벌레 ​비중을 따져보면 독일바퀴 55% , 일본바퀴 25% , 이질바퀴 15% 먹바퀴 5% 정도입니다.​
← 목록으로 돌아가기